지안농원 ( 40대 부부 )의 귀농 결심과 준비 과정을 이야기로 엮어 보았습니다.
지안농원 유튜브 채널 동영상 "[귀농 이야기 2] 지안농원 귀농 결심과 준비 과정 소개"을 제작한 내용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여 봅니다.
안녕하세요? 지안입니다.
저희가 시골에 온지 벌써 1년 2개월 되었는데요,
오늘은 시골로 오기까지 저희가 어떻게 준비를 했었는지 말씀드려 보려고 합니다.
시골 생활을 계획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이 영상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저희는 귀농하기 전에
서울에서 몇 년 살다가 인천으로 이사를 했었는데요,
근처에 해마다 갈아엎어 분양하는 밭을 10평씩 얻어
호박도 순이 넓게 뻗도록 맘껏 기르고, 겨울을 나는 마늘과 양파도 심고 싶었고,
더 넓은 텃밭에 다년생 나물과 다양한 채소를 심고 싶은 마음이 정말 컸습니다.
제가 채식 위주로 반찬을 하기 때문에
채소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아서 텃밭 농사 욕심이 많았고,
그래서 시골에서 넓은 텃밭 가꾸는 게 정말 큰 꿈이었습니다.
서울에서도 인천에서도 저희는
그래서 인천에서 분양받은 텃밭에
화분 채로 두어 햇볕을 충분히 받으며 자라게 했습니다.
그래서 경매로 남편 고향인 거창에 토지를 천 평 구매하여 블루베리 밭을 일구고
묘목을 옮겨 심었습니다.
땅 구해놓고는 4년 정도를 해마다 그렇게 옮겨 심었어요.
경매라 해도 땅값이 비싸니, 저렴하다 싶은 곳을 찾다보니 산밑이라
멧돼지가 블루베리 밭을 파헤치는 피해를 입고, 차량 접근도 힘든...
회사는 언제 그만두고 농사지으러 갈 것인지에 대한 계획은 없었고요,
다만, 회사에서 남편의 사직을 권할 때 농사지으러 간다라고만 정했기 때문에
그 때를 막연히 기다리고만 있었습니다.
도시의 교통 시설이 잘 되어 있어서 저희는
내내 자가용 없이 대중교통으로만 살았는데요,
블루베리 묘목을 계속 키워서 자라면 직접 들고 지하철에 시외버스 타고
오가면서 심었습니다.
무거운 걸 직접 들어 나르다보니 힘들기도 했습니다.
내 밭에서 맘껏 농사짓고 싶다는 열망과
그 동안 조성해 놓은 블루베리밭에 대한 기대로 시골생활을 꿈꾸고 있을 때,
귀농 및 시골 생활, 농사 짓는 법 등 인터넷 강의도 꽤 들어 보고 책도 많이 보면서
몇 년간 준비를 많이 했다고 생각했는데요,
막상 와서 보니, 텃밭에서 반찬거리 나오는 것이 다이고,
막막하죠? 정말 막막합니다.
씨 뿌리고 심고 재배하는 과정 그런 것 다 무시하고,
다 자란 작물을 수확하는 그 과정만 갖고서 직거래 가격으로 따져보았는데요,
농산물 팔아야 최저 시급도 안된다는 걸 알고 맥이 풀리기도 했습니다.
알고 보니, 그게 농촌 현실이더라구요. 저만 그런 것이 아니라 대부분 그렇습니다.
작년에 긴 장마와 장마 끝의 오랜 가뭄 탓도 있구요.
블루베리 나오는 걸 팔면 어느 정도 몇 달치 생활비는 나오지 않을까란 막연한 생각도 했는데요,
1년을 겪어 보니 이렇게 해서는 도저히 생활을 할 수가 없겠더라구요.
도시에서도 저희는 자동차 없이 살 정도로 아끼고 살았기 때문에
시골에서도 아끼고 살면 되겠거니 저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와서 보니, 먹거리는 농사지어 해결한다 해도 다달이 숨만 쉬어도
고정적으로 나가는 돈도 꽤 됩니다.
한두 달 지날 수록 쌀 살 때조차도 민감해지더라구요.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서, 석 달 전 쯤 묵은 비닐하우스가 있는 묵정밭 2000평을 임대하여
올 해 비가림 고추 농사에 새롭게 도전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비닐하우스라서 수리 및 비닐씌우기를 모두 새로 해야 하는데,
인건비가 상당히 비싸서 직접 하고 있는데요, 비닐 및 자재값도 상당합니다.
올 해 열심히 해서 수익이 많이 나면 좋겠지만, 적자 나지 않길 바라고 있습니다.
도시에서 치킨 집 같은 자영업을 하는 것이 나을까 시골 가서 농사 짓고 사는 게 나을까 같은
단순 비교를 하며 그래도 시골이 낫겠단 생각을 하고 귀농을 했습니다.
그러나 와서 보니, 예측할 수 없는 날씨도 문제지만,
실제 농사도 도시의 자영업 못지않게 투자비도 만만치 않고요,
수익에 대한 보장도 없고, 그로 인해 빚을 지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귀농 및 시골 생활을 꿈꾸시는 분들께 지난 영상에 이어 거듭 말씀 드리자면,
준비를 정말 철저히 하시고,
시골에서의 안정된 수입원을 마련하여 시골에 안착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지안농원TV 유튜브 동영상 : [귀농 이야기 2] 지안농원 귀농 결심과 준비 과정 소개
'지안농원일지 > 농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정식을 비닐하우스에 하면서 감자 심을때 씨감자 소독 꼭 해야할까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0) | 2019.03.06 |
---|---|
고추모종에 나타난 벌레 예방방제로 은행추출액을 기피재 활용과 막걸리트랩 유인재를 설치 했습니다. (0) | 2019.03.05 |
시골소모임에 저녁 막걸리 파티와 저녁식사에 초대 받고 참석한 후기 입니다. (0) | 2019.03.03 |
지안농원에서 고추모종만들기 위한 고추파종을 진행하였습니다. (0) | 2019.02.09 |
지안농원 고추품종 선택을 비가림 전용품종인 슈퍼비가림, 홍보석, 홍단비가림를 고추발아 및 고추파종을 진행하였습니다. (0) | 2019.02.07 |
고추 전열온상의 온도조절기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배선 작업을 진행 하였습니다. (0) | 2019.02.03 |
댓글